Exhibitions
Has an Ear
Lee Dong Hyuk
April 4 - May 11, 2024
Given Page_1
2024
Oil on canvas
227.3 x 162.1 cm
i
Given Page_18
2024
Oil on canvas
110 x 110 cm
i
Given Page_19
2024
Oil on canvas
227.3 x 181.8 cm
i
Given Page_16
2024
Oil on canvas
33.4 x 21.1 cm (each)
i
Given Page_20
2024
Oil on canvas
50 x 72.7 cm
i
Given Page_15
2024
Oil on canvas
33.4 x 21.1 cm (each)
i
Given Page_9
2023
Oil on canvas
33.4 x 21.1 cm (each)
i
귀 있는 자 Has an Ear
이동혁 Lee Dong Hyuk
April 4 - May 11, 2024

Curated by Kim Sung woo
KICHE holds Lee Dong Hyuk’s solo exhibition 《Has an Ear》 from April 4 - May 11. The exhibition title, ‘He who has ears, let him hear,’ is directly taken from the Bible, referring to a situation where one passively listens and accepts without being able to speak. Texts found in The Book of Revelation (Chapters 1-6) are at the center of Lee’s new body of work. Lee is interested in capturing the ongoing controversy of its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Revelation, the only apocalyptic literature included in the canon.

In this exhibition, Lee Dong Hyuk explores 'multi-translations' within the frames of painting that occur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s. Such transition of moving away from images of abandoned churches to the realm of texts highlights the main difference of Lee’s new series. Rather than simply emphasizing the narratives, Lee’s 20 new presentations of work deconstruct and recontextualize images and symbols, engaging with compositions of the frames and contrasts of color and brushstrokes within a uniform brown hue.

Lee Dong Hyuk’s paintings, composed of divided scenes with multiple perspectives, never fully reveal the whole. Some paintings are intentionally hung in sets or as collections; despite being interconnected, they do not conclude as one scenery but continuously extend and construct new narratives. Together, Lee's paintings revolve around specific imagery from texts, paintings, and illustrations found in the classic, while referencing their unique painterly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 leading viewers to a point of intersection where classics and modernity, familiarity and strangeness, figurative and abstract meet carefully.
 
“the way the artist uses images does not stop within the canvas but expands their narrative possibilities beyond it. Although the icons he introduces are religious symbols and therefore already have their narrative quality, the way they appear repeatedly in different canvases with varying angles and compositions creates a cinematic sequence. If the frame, an external system, tries to bind the significance to the internal image, the images that continue beyond the canvas extend the gaze outward, not into the canvas. Even in the divided spaces, the parts that originate from one source and are segmented or stand at different angles make the frame of the painting rather more impressionable, allowing the gaze to reach the empty spaces between the canvases. This structure creates a slippage between sequences rather than completing the narrative, reinforcing the multiple narrativity inherent in iconography. In this formulation, serial thinking in the exhibition extends to icons, canvas, and even spatial approaches.”
 
_ Partial excerpt from ‘Ponder and create outside of faith’ by Kim Sung woo, Independent Curator
기체는 이동혁 작가의 기체와의 첫 개인전 ≪귀 있는 자≫를 4월 4일부터 5월 11일까지 연다. 전시제목은 성서에 자주 언급되는 ‘귀 있는 자는 들으라’를 그대로 가져왔다. 발화할 수 없는 채 수동적으로 듣고, 받아들이게 되는 상황을 떠올린 것과 연관된다. 요한계시록 전반부(1-6장)는 중심 텍스트다. 작가는 정경(canon) 마지막에 포함된 유일한 묵시문학(apocalyptic literature) 요한계시록이 현재까지도 그 번역과 해석에서 많은 논란을 빚어내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이번 전시에서 이동혁은 원본 텍스트가 번역되는 과정에서 그 관점과 이해에 따라 저마다 다르게 이뤄지는 ’다중번역‘을 회화의 프레임 안에서 다룬다. 이전의 폐교회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벗어나 텍스트로 옮겨온 것은 가장 큰 변화다. 서사성을 강조하기 보다 이미지, 도상을 해체하고 재맥락화해 화면 구성, 또 갈색조의 균일한 톤 안에서 색조나 붓질의 대비를 부각하는 신작 20여점을 선보인다.

분할된 화면, 다시점으로 구성된 그의 회화들은 결코 전체를 드러내지 않는다. 이미지와 도상들을 번역하고 해체해 세트나 집합 형태로 걸린 작품들은 얼핏 같은 결을 이루며 서로 이어져 있으면서도 하나의 장면으로 귀결되지 않고 끊임없이 미끄러지고 어긋난다. 또 작가는 고전의 경구를 바탕 삼아 연관된 삽화, 회화 등의 도상들을 작품의 중심에 놓으면서도 특유의 구성과 한 화면 안에서 이뤄지는 거칠고 평평한 질감의 대비로 회화성을 강조한다. 이로써 이동혁의 회화는 고전과 현대, 익숙함과 낯섦, 채움과 비움, 서사와 비서사가 팽팽하게 교차하는 경계로 감상자를 이끈다.
 
“작가가 이미지를 운용하는 방식은 화면 안에 머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밖을 향함으로 확장된 서사적 가능성을 지닌다. 그가 동원하는 도상이 애초에 종교적 상징에서 추출한 것이기에 이미 서사성을 내재함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화면에서 각도와 구성을 변주하며 거듭 등장하는 방식은 마치 영화적 시퀀스와 같은 흐름을 만들어낸다. 프레임이라는 외부의 체계가 내부의 이미지에 의미를 속박하려 한다면, 화폭을 넘어서 연속하는 이미지는 캔버스 안이 아닌, 바깥으로 시선을 연장한다. 심지어 분할된 화면들 속 같은 몸에서 시작되어 분절되거나 다른 각도로 선 부분들은 회화의 프레임을 오히려 강하게 인식시킴으로 화폭과 화폭 사이 빈 공간에까지 시선을 가닿게 한다. 이는 서사의 완성보다는 시퀀스 사이 미끄러짐을 발생시키며 도상에 내재한 복수의 서사성을 강화한다.”
 
_ 김성우 협력 큐레이터 전시글 ≪믿음의 바깥에서 사유하고, 창조하라≫ 부분 발췌
 
CV

Lee Dong Hyuk(b.1985) graduated Hongik University(Seoul) with B.F.A and M.F.A in Painting. He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KICHE(2024, Seoul), A-Lounge(2022, 2020, Seoul), PROJECT SPACE(2020, Seoul), Space 9(2018, Seoul). He has staged and participated in various group exhibitions at KICHE(2023, Seoul), New Spring Project(2023, Seoul), Art Space Hohwa(2023, Seoul), KUZO(2023, Seoul), Gallery Kiche(2021, Seoul), Hakgojae(2021, Seoul), drawingRoom(2021, Seoul), Mimesis Art Museum(2015, Paju), and Alternative Space LOOP(2012, Seoul).

이동혁 작가(b.1985)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일반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개인전은 기체(2024, 서울), 에이라운지(2022, 2020, 서울),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2018, 서울), 스페이스 나인(2018, 서울)에서 가졌고 기체(2023, 서울), 뉴스프링프로젝트(2023, 서울), 아트스페이스 호화(2023, 서울), 구조(2023, 서울), 갤러리 기체(2021, 서울), 학고재(2021, 서울), 드로잉룸(2021, 서울),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2015, 파주), 대안공간 루프(2012, 서울)에서 그룹전을 가졌다.
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