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If we remember everything
Shinyoung Park, Seungeun Song
May 30 - June 29, 2024
박신영 Shinyoung Park
항해사의 비행 Flight of The Navigator
2024
Oil on canvas
227.3 x 181.8 cm
i
박신영 Shinyoung Park
야간산책 A Night Walk
2024
Oil on canvas
65.1 x 53 cm
i
박신영 Shinyoung Park
소유즈 Soyuz
2024
Oil on canvas
145.5 x 89.4 cm
i
박신영 Shinyoung Park
출구 없는 길의 유령 The Ghost of The Eternal Road
2024
Oil on canvas
145.5 x 97 cm
i
박신영 Shinyoung Park
녹색증기의 도시 City of Green Vapor
2022_24
Oil on canvas
45.5 x 37.9 cm
i
박신영 Shinyoung Park
멀홀랜드 드라이브 Mulholland Drive
2024
Oil on canvas
53 x 40.9 cm
i
송승은 Seungeun Song
모험을 시작할 때는 물 한 잔이 필요하다 We Need a Glass of Water When We Start an Adventure
2024
Oil on canvas
181.8 x 181.8 cm 
i
송승은 Seungeun Song
가죽의 색이 바래고 구름이 피어나는 동안 제자리에 있던 것들 Things That Remained in Place While the Leather Faded and Clouds Bloomed
2024
Oil on canvas
162.2 x 130.3cm
i
송승은 Seungeun Song
오랫동안 For a Long Time
2024
Oil on canvas
45.5 x 37.9 cm
i
송승은 Seungeun Song
사물에 기록된 시간 Time Recorded on Objects
2024
Oil on canvas
40.9 x 31.8 cm
i
송승은 Seungeun Song
비밀, 두루마리, 편지 Secrets, Scrolls, Letters
2024
Oil on canvas
116.8 x 91 cm
i
송승은 Seungeun Song
정물화(깃털과 물 잔) Still Life(Feather and Water Cup)
2024
Oil on canvas
40.9 x 31.8 cm
i
우리가 모든 것을 기억한다면 If we remember everything
박신영, 송승은 Shinyoung Park, Seungeun Song
May 30 - June 29, 2024
From May 30th to June 29th, KICHE holds a duo exhibition, If we remember everything, by artists Shinyoung Park and Seungeun Song. This exhibition builds upon the artists’ ideas of, “What if we remembered everything? This uncanny imagination challenges us to look back on those that piled up in us.” With this in mind, the two artists’ use of “light” reveals the subtle inner emotions and drives the pictorial composition and expression (found in brush strokes, color, overlap, etc) as an axis of canvas operations.

Shinyoung Park uses landscape painting as the framework of his work. He first prints scenes, characters, and objects from cartoons or movies such as Blade Runner and Mulholland Drive, cuts them into pieces, gathers them, and collages them into random landscapes and scenes. Based on this collection, he determines the larger composition and tone of the painting and further captures the subtle tension mixed with complex emotions by building up layers of paint in many thin layers on the canvas. In his depiction of these dramatic moments, such as the spaceship “Soyuz” crash-landing on a sea colored in red by the sunset, a car abandoned in a deep green field or forest, dinosaur fossils fading away, and a wild dog staring with empty eyes outside the screen in “Flight of The Navigator,” the viewer can detect an “invisible threat.”

Seungeun Song puts together pieces of analog animation (characters, objects, parts of the background, etc.) into composition and builds structure around them with line drawings. In this way, she creates a moment with typical elements such as the character's body, cup, table, bed, or draping cloth and brings life to a sense of her unique narrative. As seen in “Things that Remained in Place While the Leather Faded and Clouds Bloomed” and “We Need a Glass of Water When We Start an Adventure,” her paintings set the direction of the light and hold the thoughts and emotions that seep through her mind while she works on them. On the other hand, the methodology of the work clearly evolved from previous works as it further embodies the changes seen at the Kumho Museum of Art exhibition; it builds on the contemplation and practices to achieve aesthetic balance that do not lean too far toward narrative or materiality.

The two artists' canvases that sway between past and present, fiction and reality, and figuration and non-figuration are both constructive and narrative. As seen earlier, this impression is born out of the fact that they experiment and specify forms in the context of imaginary landscapes (Shinyoung Park) and constructive semi-abstraction (Seungeun Song), while actively capturing their worldview and innermost emotions.

In many realms, the questions that the two artists pose in this exhibition do not linger at the sentimental level of simply listing fragments of memories or emotions. On the contrary, they serve as a solid reference point to reflect and examine everything that surrounds us as they are, along with the questions of, “what are the things that make me?” and “what does it mean to be true to myself?”.
기체는 5월 30일부터 6월 29일까지 박신영, 송승은 작가 2인전 《우리가 모든 것을 기억한다면》을 연다. 이번 전시에서 “우리가 모든 것을 기억한다면 어떨까? 이 어딘가 무서운 상상은 우리에게 쌓여있는 존재들을 돌아보게 한다”는 작가적 질문과 인식은 그 출발선이 된다. ‘빛’은 두 작가 작업 전반에 걸쳐 내면의 미묘한 감정을 드러내거나 회화적 구성, 표현(붓질, 색조, 겹침 등)을 이끄는 화면 운용의 한 축이다.

박신영 작가는 풍경화를 작업의 기본 틀로 삼는다. 그는 먼저 블레이드 러너, 멀홀랜드 드라이브 등 만화나 영화의 장면, 인물, 사물들을 프린트해 부분적으로 자르고 모아 임의적인 풍경, 장면으로 콜라주 한다. 이를 바탕 삼아 회화 작업의 기본 구성과 색조를 정하고 겹겹의 얇은 덧칠로 물감층을 쌓아가면서 복잡한 정서가 혼재하는 미묘한 긴장을 화면에 담아낸다. 붉게 노을 진 바다 위 불시착한 우주선 <소유즈>, 짙푸른 들판 혹은 숲에 버려진 자동차와 흐릿하게 남은 공룡 화석, 그리고 화면 밖을 빈 눈으로 응시하고 있는 들개 <항해사의 비행>처럼 어떤 사건이 벌어진 극적 장면들에선 ‘보이지 않는 위협’이 감지된다.

송승은 작가는 아날로그 애니메이션의 조각들(등장인물, 사물, 배경의 부분 등)을 회화적 구성을 위한 형태로 콜라주하고, 선 드로잉으로 윤곽을 짠다. 이렇게 인물의 신체, 컵, 테이블, 침대, 흘러내린 천처럼 전형성을 띄는 요소들로 장면을 만들고, 특유의 서사성을 부여한다. <가죽의 색이 바래고 구름이 피어나는 동안 제자리에 있던 것들>, <모험을 시작할 때는 물 한 잔이 필요하다>처럼 빛의 방향을 설정하고 작업을 이어가는 동안 장면에 연관돼 떠오른 생각, 감정들이 스며 있다. 반면 작업 형식은 금호미술관 전시의 연장선에서 그 변화를 더 구체화하고 있어 이전 작업과 분명 대별되는데, 그 바탕엔 서사나 조형성 어느 한쪽으로 넘치게 치우치지 않는 회화적 균형을 위한 고민과 실천이 깔려 있다.

과거와 현재, 허구와 실제 그리고 구상과 비구상을 오가는 두 작가의 화면은 구축적이면서도 서사적이다. 앞서 살핀 것처럼 심상의 풍경(박신영), 구축적 반추상(송승은)의 맥락에서 회화 형식을 실험하고 구체화하면서, 동시에 그들 세계관과 내밀한 정서를 적극 담아내기 때문이다.

여러 차원에서 박신영, 송승은 두 작가가 이번 전시의 의제로 설정하고 있는 질문은 단지 기억이나 감정의 편린을 나열하는 감상적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되려 일상과 회화 작업 안에서 ‘과연 나를 이루고 있는 것 또는 나다운 것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나를 거쳐 가거나 둘러싼 것들을 있는 그대로 하나하나 되짚고 살피기 위한 단단한 기준점으로 자리한다.
CV

Shinyoung Park(b.1984) lives and works in Seoul. He has held solo exhibitions including Ray vapour and darkness(A-Lounge, Seoul, 2020), Personally Permitted Themes(Keep in Touch Seoul, Seoul, 2020), On the Eternal Road(OCI Museum of Art, Seoul, 2019). The artist has staged various group exhibitions such as If we remember everything(KICHE, Seoul, 2024), You Never Saw It(KICHE, Seoul, 2021), Today’s landscape(Gyobo artspace x Hapjungjugu, Seoul, 2020), From the Face(2/W, Seoul, 2018), A planet filled with void(Hapjungjigu, Seoul, 2018).

박신영(b.1984)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 학사를, 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개인전은 광선 증기 어둠(에이라운지, 서울, 2020), 개인적으로 허락된 테마들(Keep in Touch Seoul, 서울, 2020), 출구없는 도로에서(OCI 미술관, 서울, 2019)이 있다. 작가의 주요 그룹전으로는 우리가 모든 것을 기억한다면(기체, 서울, 2024), You Never Saw It(기체, 서울, 2021), 오늘의 풍경(교보아트스페이스 x 합정지구, 서울, 2020), 얼굴로부터(2/W, 서울, 2018), 공백이 가득한 행성(합정지구, 서울, 2018)이 있다.
 
CV

Seungeun Song(b.1991) lives and works in Seoul. She has held solo exhibition of Slippery teacup(Artside Gallery, Seoul, 2022), Grab the Slush(Keep in Touch Seoul, Seoul, 2020). She has staged various group exhibitions such as If we remember everything(KICHE, Seoul, 2024), A Glimpse of Our Time(Kumho Museum of Art, Seoul, 2023), Today, Moment, Emotion(Artside Gallery, Seoul, 2021), BGA Showroom(BGA, Seoul, 2021), A planet filled with void(Hapjungjigu, Seoul, 2018). The artist is also selected by Seoul Foundation’s Arts and Culture Support Project(2022), Art support project RE:SEARCH(2021), First art support (2017).

송승은(b.1991)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 학사를, 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개인전은 미끄러진 찻잔(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2022), Grab the Slush(Keep in Touch Seoul, 서울, 2020)가 있고, 주요 그룹전으로는 우리가 모든 것을 기억한다면(기체, 서울, 2024), 다중시선(금호미술관, 서울, 2023), 오늘, 순간, 감정(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2021), BGA Showroom(BGA마루, 서울,2021), 공백이 가득한 행성(합정지구, 서울, 2018)이 있다. 또한, 서울문화재단의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2022), 예술지원사업 RE:SEARCH(2021), 최초예술지원사업(2017)에 선정되었다.
Subscribe